| 구분 | 번호 | 제목 | 발표자 |
|---|---|---|---|
| [보건관리] | 32 | 건강노화(Healthy Aging)의 개념화: 다중 자료원을 이용한 조작적 정의 비교 | 이윤환 |
| [보건관리] | 33 | 경상북도 소지역 및 중진료권 단위 건강통계: 건강격차와 변화추이 | 윤소연 |
| [보건관리] | 34 | 한국 거주 독립국가연합(CIS) 이주민의 건강 격차 : 국민건강영양조사자료를 이용한 비교 | 김진형 |
| [보건관리] | 35 | 반복측정 분석을 통한 장애인과 비장애인 의료비 분석 : 2009 – 2018 한국 의료패널 자료를 이용하여 | 김예진 |
| [보건관리] | 37 | 만성질환 관리를 위한 진료지속성 지표의 유형분류 및 개발연구 | 신의 |
| [보건관리] | 38 | 장애인의 코로나19 영향 연구 동향 분석: 주제범위 문헌고찰 | 김주희 |
| [보건관리] | 39 | 개인 행복 수준에 대한 개인 및 지역의 영향요인: 다수준분석 및 조절효과 분석 | 이은해 |
| [보건관리] | 39 | 플랫폼 근로자와 임금근로자의 프리젠티즘과 결근의 연관성 비교: 단면적 연구와 머신러닝 기법 | 박희주 |
| [환경] | 1 | 국내 의료급여수급 인구 중 주변 PM2.5 단기노출 및 응급실 방문 위험: 건강보험 기반 코호트 종단연구 | 김아영 |
| [환경] | 2 | 상대습도와 절대습도의 사망과의 연관성 비교 | 민지은 |
*본 사업은 기획재정부의 복권기금 및 과학기술정보통신부의 과학기술진흥기금으로 추진되어 공익 및 사회적 가치 실현과 국가 과학기술 발전에 기여합니다.
*This work was supported by the Korean Federation of Science and Technology Societies(KOFST) grant funded by the Korean government