| 구분 | 번호 | 제목 | 발표자 |
|---|---|---|---|
| [보건관리] | 13 | 일개 농촌 지역 65세 이상 고령층에서 노쇠지수와 영양지수와의 관련성 | 김상규 |
| [보건관리] | 14 | 경상북도 지역사회 건강증진사업 인력 현황 실태조사 연구 | 이상봉 |
| [보건관리] | 15 | 소아청소년 환자에서의 환자보고결과 도출: 환자와 보호자를 대상으로 한 질적 연구 | 원동현 |
| [보건관리] | 16 | Perspectives on health environments for disabled workers in vocational rehabilitation facilities: Systematic review | 송이슬 |
| [보건관리] | 17 | 경상북도 공공보건의료 연계·협력 현황과 발전방안 | 강민정 |
| [보건관리] | 18 | 지속 가능성 지표는 보건의료 성과를 개선하는가? : 캐나다, 호주, 영국의 정책 사례를 중심으로- | 우경숙 |
| [보건관리] | 19 | 신체적 장애인의 디지털헬스케어 요구분석 | 방관욱 |
| [보건관리] | 20 | 치과 고액진료비 현황 및 발생요인 | 김우종 |
| [보건관리] | 21 | 대구시 지역사회건강조사 결과를 이용한 심근경색증 조기증상 홍보 우선순위 지역과 대상자 선정 | 이유미 |
| [보건관리] | 22 | 대구시 구군 보건소 담당자의 심뇌혈관질환 관련 통계에 관한 요구도 조사 | 김정환 |
*본 사업은 기획재정부의 복권기금 및 과학기술정보통신부의 과학기술진흥기금으로 추진되어 공익 및 사회적 가치 실현과 국가 과학기술 발전에 기여합니다.
*This work was supported by the Korean Federation of Science and Technology Societies(KOFST) grant funded by the Korean government